본문 바로가기

기생충3

영화팬들도 의외로 잘 모르는 영화의 기본 단위들 영화의 기본 단위들은 크게 beat, scene, sequence, act 그리고 shot를 들 수 있습니다. 그 중 scene과 shot은 구획이 눈에 보입니다. 끝과 끝이 눈에 보이는 가시적 단위들이라 하겠습니다. shot은 영화에서 가장 구체적인 단위입니다. 물리적으로 끊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hot과 shot의 경계가 눈에 보입니다. 다만 편집 기술로 shot과 shot이 접합되는 지점을 눈에 보이지 않게 만듭니다. 그래서 관람을 하는 동안에는 눈에 불을 켜고 보지 않는 이상 그 경계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실제로 안 보이는 게 아니라 안 보이는 것처럼 인지되는 것입니다. 이 점은 차차 이야기하기로 하고, 초심자라면 아직은 shot에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영화를 전문적으로 분석.. 2024. 3. 11.
초심자가 꼭 알아두어야 할 영화 독해의 정석 영화를 날카롭게 분석하는 안목을 갖추러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독해를 잘하려면 어떤 방법을 거쳐야 할까요? 영화감독을 꿈꾸던 어린 시절에 저는 영화를 잘 만들고 싶었고 그래서 영화를 잘 알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선배들이나 현업에 계신 분들께 여쭤봐도 책 많이 읽어라, 영화 많이 봐라 … 이런 막연한 말들만 돌아올 뿐이었고, 시중에 떠도는 평론가들의 말들에서는 실용적인 도움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결국 혼자 공부하게 되더군요. 그래도 오랜 시간 혼자 공부하다 보니 정리된 것들이 많아졌습니다. 지금 헤아려 보니 20년 가까이 되네요. 덕분에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일을 하기도 하고 몇 해 전까지는 아마추어 제작자들을 지원하는 곳에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이전까지는 저도 영화 독해에 정해진 방식 같은 건 없다고 .. 2023. 10. 12.
영화제작자들이 '문법'이라고 부르는 것 (이어서) 이 가지고 있는 기념비적인 의미를 이해하려면 여러 차례 강조했다시피 ‘고전 영화로부터의 탈피’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다르게 말하면 새로운 예술적 패러다임의 등장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첫 화부터 읽어오신 분들은 무슨 말인지 잘 아실 겁니다. ‘고전 영화로부터의 탈피’는 간단히 말해 고전 영화의 형태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고전 영화의 형태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은 고전 영화에서 관습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구문론적 규범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고, 흔히 사용하는 말을 빌리자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문법 체계’를 따르지 않는 것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다. 오손 웰스의 은 이러한 구문론적 규범을 따르지 않는 작품입니다. 그중 서사에 관해서는 지난 시간에 말씀드.. 2022. 1. 27.